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광유다
- 스핀락
- StartActivityForResult
- Vector
- unorderedmap
- 지크슈
- ARface
- registerForActivityResult
- 포톤
- SpinLock
- 세마포
- unityAR
- photon
- 유니티
- mutex
- 안드로이드스튜디오
- 동기화
- 뮤텍스
- 유니티슈팅게임
- semaphore
- Unity
- 게임개발
- Java
- C++
- map
- list
- unorderedset
- dependencyResilutionManagement
- NotFoundException: String resource ID #0x0
- 바이너리세마포
- Today
- Total
목록분류 전체보기 (79)
와와

블루프린트 https://m.blog.naver.com/PostView.naver?isHttpsRedirect=true&blogId=foxmann&logNo=220266486716 [언리얼 엔진4] 6. 블루프린트의 기초 우리는 언리얼 엔진의 블루프린트를 사용해서 게임을 만들 것이므로 먼저 블루프린트이 기본적인 사항을 알... blog.naver.com 레벨 블루 프린트 *오브젝트를 복사하면 블루프린트 적용 X 블루프린트 > 레벨 블루 프린트 열기 1. BeginPlay 이벤트 2. Tick 이벤트 3. Input 4. Create Dynamic Material Instance ( 키 누르면 오브젝트의 Matrerial 변환 ) 5. AddActorWorldOffset ( 키 누르면 오브젝트..
R : 오브젝트 복사 W,A,S,D : 화면 이동 Q, E : 시점 수직 오브젝트 클릭 + Enter : 바닥 밀착 W: 이동 E: 회전 R: 크기 Alt + 연결 클릭 : 이벤트그래프에서 서로 연결 끊기
언리얼 특징 1. 블루프린트 2. 비쥬얼 3. 엔진을 직접 수정 가능 4. 가격 정책 기본 용어 프로젝트: 현재 작업하는 게임의 전체 작업 월드: 게임의 씬을 제작하기 위해 주어진 무한한 가상 공간 액터: 월드에 존재하는 기본 물체 단위 레벨: 게임 플레이를 위해 게임 디자이너가 제작한 씬 모빌리티 1. 스테틱 static : 위치, 파라미터 변화 X : 사실적 묘사 가능 : 계산량이 많아 실시간 처리 불가능 -> 빌드해야 확인 가능 2. 스테이셔너리 stationary : 위치 변환 없고 다른 파라미터 값이 변함 3. 무버블 movable : 게임 실행 중 위치가 변하는 물체 : 품질은 낮지만 계산이 빨라 실시간 처리 가능 라이트 1. 디렉셔널라이트 - 태양광과 같이 무한히 먼 거리에서 오는 광원 표현..

https://velog.io/@baes616/Augmentation-%EC%9D%B4%EC%9A%A9%ED%95%9C-%EC%9D%B4%EB%AF%B8%EC%A7%80-%EC%A6%9D%EA%B0%95-%EC%9E%91%EC%97%85google-colab Augmentation 이용한 이미지 증강 작업(google colab) 데이터를 학습시키기 위해 데이터셋을 만드는 과정에서 이미지 데이터 수가 부족한 상황이 나타난다... velog.io 칠성 이미지를 더 모으고자 이미지 증강 작업을 했다. pip install Augmentor 설치하고 위의 링크에 있는 코드를 실행시켰다 칠성 로고가 망가지면 안될 것 같아서 왜곡은 하지 않고 크롭과 회전만 했다. 결과는 덕분에 이미지는 많이 생겼는데 생각보다 로..

14. Input System 1) Imput System의 구조 Action : 게임 내의 행동, 동작 ( ex. 이동, 회전, 공격, 점프 ) BInding : Action을 실제 물리적인 입력장치와 매핑하는 것 ( 점프 - 키보드 스페이스 키 ) Action Map : 여러 Action의 그룹 ( ex. UI, Player ) 2) Imput System 패키지 설치 패키지 매니저 > Unity Registry > Input System 설치 3) Input Actions 에셋 4) Player Input 컴포넌트 캐릭터에 컴포넌트 추가 후 Input Actions 에셋 바인딩 Behavior - Send Messages 옵션 : Input Actions에서 설정한 액션을 SendMessage 함수..
13. 오클루전 컬링 : 카메라에 보이지 않는 객체는 렌더링에서 제외함으로써 부하를 줄임 컬링 방식 1) 프러스텀 컬링 : 카메라 시야 범위 내의 물체만을 렌더링 ( Main Camera 의 Clipping planes 속성으로 조절 ) 2) 거리 비례에 의한 컬링 : 프러스텀 영역에 포함되지만 멀리 떨어진 물체를 컬링 ( 오브젝트의 LOD Group 컴포넌트 > Culled 속성 조절 ) 3) 오클루전 컬링 : 프러스텀 영역에 포함되지만 앞의 물체에 가려 보이지 않는 물체를 컬링 : 1인칭 시점, 건물이나 장애물이 많은 스테이지에서 필수적 1. Static 플래그 설정 ( 가릴 수 있는 객체는 Occluder Static/ 가려지는 객체는 Occludee Static ) 2. Occlusion 데이터 ..
10. 네비게이션 고급 기법 1) 동적 장애물 : 몬스터가 Player를 추적하는 상황에서 장애물이 사라졌을 때 그 빈 공간을 여전히 장애물로 인식하는 문제 NavMeshObstacle 컴포넌트 바닥 전체를 네비메시로 베이크 -> 동적 장애물 오브젝트에 NavMeshObstacle 컴포넌트 추가 -> carve 속성 체크 * Carve: 네비메시를 실시간으로 갱신 Carve 옵션 설명 Move Threshold 속성값의 거리만큼 이동했을 때 내비메시를 갱신 Time To Stationary 동일 위치에서 일정 시간동안 정지했을 때 내비메시를 갱신한다 Carve Only Stationary 정지 상태에만 내비메시를 갱신한다 2) Off Mesh Link Generation : 서로 분리된 메시 연결 ( 추..
p54 ~ p117 1. matarial 설정 2. 스내핑: V키 3. light 1) Directional Light ( default ) : 전체화면에 균일한 빛 ( 태양 ), 가장 저렴 2) Point Light : 전구, 360˚로 퍼짐 3) Spot Light : 콘 모양, 가장 비쌈 4) Area Light : 사각형 형태, 한쪽 면에서 빛을 발하는 조명, 실시간X, 주로 간접 조명으로 사용 4. 하늘 표현 1) Skybox : 6sided, Cubemap, Panoramic, Procedural(텍스처X, 직접설정) 2) Skydome p118 ~ p 168 1. 단축키 콘솔: ctrl + shift + c 실행: ctrl + p 씬뷰 가상카메라 팔로우: ctrl + F 2. GetAxisR..

개발환경 구축떄문에 4시간 버리고 내가 뭘 했는지도 기억이 안나서 기록하고자 함. 다시 시작해보면서 뜨는 오류들 전부 정리해야지..! 일단 난 아나콘다를 깔았고, 거기 주피터에서 실행시키고자 한다. 주피터하다가 안되서 파이참까지 갔었는데 대실패함 텐서플로우랑 이것저것 다 깔아놓은 상태임 첫번째 오류 cannot import name 'LayerNormalization' from 'tensorflow.python.keras.layers.normalization' 주피터에서 실행하는데 뜸 pip uninstall -y tensorflow keras tf-nightly keras-nightly pip install tensorflow 이렇게 프롬프트에 치면 된다길래 쳤는데 두번쨰 오류 PermissionErr..
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.